CCS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몇 가지 고려할 부분을 제외하고는 설치에 큰 어려움은 없습니다.
1. 설치 파일 다운로드
CCS v5나 CCS v6를 TI wiki 페이지 Download CCS 에서 내려 받습니다.
현재 최신의 CCS v7이 위 CCS 다운로드 위키에 등록되어 있으며 이 버전부터 CCS는 무료 컴파일러 툴이 되었습니다.
참고로 다운로드 시에 Web Installers와 Off-line Installers가 있습니다.
Web Installer의 경우 소용량의 설치 프로그램만 받고 나머지는 설치과정에서 다운로드를 받는 방법이고,
Off-line Installer의 경우 해당 버전의 Full 버전의 설치프로그램 전체를 압축 파일(약 700MB~1GB 정도 됨) 형태로 다운로드 받는 형태입니다. 이 압축을 푼 다음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경험 상 Off-line Installer를 다운 받으셔서 설치할 것을 권해드립니다. 왜냐하면, 설치에 꽤 오랜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간혹 네트웍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간혹 설치가 완료되지 않으면서 재설치 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이 경우 시간 loss가 많습니다.
2. 설치 시 주의사항
- 한글 경로 문제 : CCS v4, v5, v6, v7의 경우 한글 경로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설치시 뿐만 아니라 설치후에도 프로젝트의 경로에 한글 등 ASCII 이외의 문자코드가 들어간 경로가 있을 때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 경우 ASCII 코드만 사용한 Windows User ID로 변경하거나 새로운 user를 생성해서 설치하셔야 합니다.
설치시 경로의 문제가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메세지창이 뜹니다.
- 바이러스 실시간 감시 프로그램 해제 : 프로그램 설치 시에는 바이러스 감시 프로그램을 끄거나 잠시 해제해주어야 한답니다.
설치시 바이러스 감시 프로그램이 동작하고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메세지창이 뜹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에러코드를 남기며 설치가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가급적 기본 설치 경로를 변경하지 말아 주시기 바랍니다. CCS는 이클립스 기반이며 무수히 많은 add-on 프로그램들이 연결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특정 상황에서 컴파일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설치과정
설치는 대부분 특별한 과정이 없이 next로 넘어가면 됩니다. 몇 가지 설명할 부분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설치를 진행하다 보면 아래와 같이 지원하는 Processor 선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만일 최소용량으로 빠르게 설치를 하고자 한다면 필요한 디바이스군만 체크하신 다음 next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만일 컴퓨터 저장 용량이 충분하거나 이것 저것 설치하는데까지 신경쓰기 귀찮을때에는,
전체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차후 선택의 폭을 넓게 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입니다.
디버거를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TI에서 제공되는 디버거 이외에 Spectrum Digital과 Blackhawk의 XDSxxx 시리즈의 디버거를 사용한다면 이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App Center라고 해서 CCS에 Add-on 되는 프로그램들의 설치여부를 결정합니다.
따로 여기서 진행하지 않더라도 설치이후에도 View - App Center에서 다시 내려받기가 가능합니다.MSP430 GCC : GCC 기반의 MSP430 컴파일러입니다. 무료컴파일러이며 이를 설치하고 CCS에서 GCC 컴파일러를 사용한다고 지정하면 바이너리의 크기와 관계없이 무료로 사용가능합니다.
PRU Compiler : ARM Cortex A8 코어 등에서 Programmable Runtime Unit이라는 또다른 coprocessor가 있는데 이를 컴파일하기 위한 컴파일러입니다.
Linux Development Tools : 리눅스 개발 환경을 위한 툴입니다.
MSPWare : MSP430 및 MSP432의 개발을 위한 필수 툴입니다. 각종 매뉴얼 및 소스코드가 들어있는 설치툴입니다.
GUI Composer : USB JTAG이나 UART를 통해서 PC의 GUI와 타겟보드가 연결되어 쉽게 상태모니터링과 제어가 가능하도록 꾸며주는 툴입니다.
설치를 진행하시다가 아래와 같이 방화벽 관련 내용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때는 액세스 허용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이제 설치가 끝났네요. 컴퓨터에 따라서 수분~수십분이 걸립니다.
4. 실행해 보기
CCS를 실행해 봅니다.
처음에 CCS의 workspace를 선택하는 부분입니다.
매 실행시 마다 Workspace Launcher가 어떠한 workspace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하도록 해줍니다.
Workspace는 비슷한 프로젝트들을 묶는 개념으로 보시면 편하겠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제품군 별로 따로 workspace를 관리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ㅎ
CCS 실행시마다 이 화면을 지나치는 것이 번거롭다면 좌측하단의 체크박스를 클릭해주면 됩니다.
그래도 CCS 메뉴에서 workspace를 변경하는 메뉴가 있기 때문에 고민할 필요는 없겠지요?ㅎ
<끝>
'[study]컴파일러툴.. > C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P430ware 예제 설명.. (0) | 2017.12.14 |
---|---|
CCS에서 MSP430Ware 이용한 프로젝트 생성 (0) | 2017.06.19 |
CCS에서 기존 프로젝트 불러오기 (0) | 2017.06.19 |
CCS에서 새 프로젝트 생성 (0) | 2017.06.19 |
CCS v7을 설치해 봅시다. (3) | 2017.04.19 |